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헷갈리는 우리말3

헷갈리는 우리말 - 한나절, 반나절은 몇 시간? ..표준국어대사전에서 '나절'표준국어대사전에서 '나절'은 다음과 같이 풀이합니다.1) 하룻낮의 절반쯤 되는 동안2) 낮의 어느 무렵이나 동안----1) 하룻낮의 절반쯤 되는 동안 한나절, 반나절 - 헷갈리는 표현 중의 하나입니다. 여기서 '나절'은 '낮의 절반'이 줄어든 말이라고 보면 됩니다.밤 12시간, 낮 12시간이라 하면 낮의 절반인 '나절'(한나절)은 대략 6시간,반나절은 하루 낮의 1/4로 대략 3시간이 됩니다. 2) 낮의 어느 무렵이나 동안 이 뜻으로 쓰일 때는 시간 개념이 좀 더 자유로워집니다. 아침나절, 점심나절, 저녁나절 등으로 쓰입니다.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아래와 같이 풀이합니다. 아침나절은 아침밥을 먹은 뒤부터 점심밥을 먹기 전까지의 한나절점심나절은 점심때를 앞뒤로 하여 반나절저.. 2025. 6. 17.
폼나다, 간지나다 - 우리말 아닙니다 ..'폼나다', '간지나다'는 각각 영어와 일어의 단어와 우리말이 합쳐진 말로 순우리말도 아니고, 표준국어대사전에도 등재되어 있지 않습니다. 1, 폼나다  = 영어 form + 나다  '폼나다'라는 말은 자세, 모양 등을 뜻하는 영어 'form'에 우리말 접미사 '나다'를 붙인 말로, '멋이나 거드름이 겉으로 드러나다'라는 뜻으로 사용합니다. 표준국어대사전에 등재되지 않은 말입니다.  ●  '-나다' (명사나 명사성 어근 뒤에 붙어) 그런 성질이 있음을 더하고 형용사를 만드는 접미사(예) 맛나다, 별나다2. 간지나다= 일본어 感(かん)じ + 나다 느낌, 감, 분위기 등을 말하는 일어  かんじ에 우리말 접미사 '나다'를 붙인 말로 '느낌이 나다', '느낌이 오다'의 뜻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간지가 흐르.. 2025. 3. 30.
재미있는 우리말 - 뜬금없다, 십상이다 ..글을 쓰다 '~하기 쉽상이다'라고 썼는데 맞춤법이 틀리다고 하네요. 그래서 찾아보게 된 '십상이다'라는 말, 한자 사자성어에서 온 말이라고 하네요. 함께 '뜬금없다'라는 말도 살펴봅니다. 1. 십상이다이 말은 한자 사자성어 '십상팔구(十常八九)'의 준말인 '십상'에서 온 말이라고 합니다.  '십상팔구(十常八九)'는 '열에 여덟, 아홉으로 거의 예외가 없음'을 뜻하는 말인데 요즘은 대신에 십중팔구라는 말이 많이 쓰이죠. 즉, '~하기 십상이다'라는 말은 한자 사자성어 '십상팔구(十常八九)'에서 유래된,  '~하기 쉽다'라는 뜻의 말입니다. '쉽다'라는 뜻과 연결되어 자꾸 '쉽상'으로 쓰게 되는데... 신경써야겠습니다. 2. 뜬금없다 옛날, 시장에 나온 쌀의 값을 정하는 말감고(시장에서 쌀값을 정하는 사.. 2024. 12. 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