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궁금한 정보190 폼나다, 간지나다 - 우리말 아닙니다 ..'폼나다', '간지나다'는 각각 영어와 일어의 단어와 우리말이 합쳐진 말로 순우리말도 아니고, 표준국어대사전에도 등재되어 있지 않습니다. 1, 폼나다 = 영어 form + 나다 '폼나다'라는 말은 자세, 모양 등을 뜻하는 영어 'form'에 우리말 접미사 '나다'를 붙인 말로, '멋이나 거드름이 겉으로 드러나다'라는 뜻으로 사용합니다. 표준국어대사전에 등재되지 않은 말입니다. ● '-나다' (명사나 명사성 어근 뒤에 붙어) 그런 성질이 있음을 더하고 형용사를 만드는 접미사(예) 맛나다, 별나다2. 간지나다= 일본어 感(かん)じ + 나다 느낌, 감, 분위기 등을 말하는 일어 かんじ에 우리말 접미사 '나다'를 붙인 말로 '느낌이 나다', '느낌이 오다'의 뜻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간지가 흐르.. 2025. 3. 30. 귀신 씻나락 까먹는 소리 - 뜻, 유래 ..김훈 소설 '칼의 노래'를 천천히 읽고 있습니다. 그 책에서, '메뚜기떼가 풀섶에서 서걱대는 소리 같기도 했고, 먼 곳에서 쥐떼가 씻나락을 까먹는 소리 같기도 했다.'라는 글을 읽고, '씻나락'에 대해서 찾아봅니다. 1. '씻나락', '귀신 씻나락 까먹는 소리'의 뜻표준국어대사전에는 '볍씨'를 이르는 말이라고 나와 있습니다. 볍씨는 못자리에 뿌리는 벼의 씨앗을 말합니다. 보통 '귀신 씻나락 까먹는 소리'라는 말을 쓰며, '말도 안 되는 엉뚱한 소리', '어림없는 소리'라는 뜻입니다. 비슷한 말로 '개 풀 뜯어먹는 소리', '김밥 옆구리 터지는 소리', '자다가 봉창 두드리는 소리'가 있습니다. - 야구계에 '이대호 도루하는 소리'라는 표현도 있고, 북한에서는 '가을 뻐꾸기 같은 소리'라는 말이 있다고.. 2025. 1. 3. 대설주의보와 대설경보의 차이 ..올해는 첫눈 내린 날에 지역에 따라 대설경보 또는 대설주의보가 발령되었습니다. 온 듯 마는 듯해서 첫눈이다 아니다 시비를 자주 일으키곤 했던 첫눈이었는데 대설경보와 함께 오다니, 참 드문 일이었습니다. 대설주의보와 대설경보의 기준, 적설량과 강설량의 의미를 정리합니다.대설주의보24시간 동안 내려 쌓이는 눈의 양이 5cm 이상 예상될 때대설 경보24시간 동안 내려 쌓이는 눈의 양이 20cm 이상 예상될 때다만 산지는 30cm 이상 예상될 때 적설량관측소 주변 땅의 50% 이상이 눈으로 덮인 경우에 지표면으로부터 눈이 쌓인 높이강설량눈을 녹이거나 무게를 측정해 물의 양으로 환산해 표시한 것30cm 적설량은 약 2.5cm 강설량에 해당해 적설량을 강설량으로 환산하면 약 1/10이 됨강수량강우량(비)과 강설.. 2024. 12. 12. 우리 속담 - 여자 팔자 뒤웅박 팔자 ..우리 속담 중에 '여자 팔자 뒤웅박 팔자'에 대하여 살펴봅니다. 흔히 쓰이는 말인데 뒤웅박의 형태는 처음 확인합니다. 1. 뒤웅박뒤웅박은 박을 쪼개지 않고, 꼭지 부근에 구멍을 뚫어 속을 파내어 만든 바가지입니다. 사투리로 두뱅이, 주름박, 두름박이라고도 한답니다. 둥근 박으로도 만들고, 호리병 모양의 박으로도 만듭니다. 깨질 위험이 있어서 그물 모양으로 겉을 싸기도 합니다. 뒤웅박은 습기를 흡수하는 성질이 있어서 여름에 밥을 담아두면 잘 쉬지 않습니다. 씨앗, 달걀 등을 담기도 합니다. 2. 속담 '여자팔자 뒤웅박 팔자'뒤웅박은 무언가를 담기 위해 쓰이는데, 부잣집에서는 쌀을 담고 가난한 집에서는 여물을 담습니다. 여자도 뒤웅박처럼 시집을 부잣집으로 가느냐, 가난한 집으로 가느냐에 따라 팔자가 .. 2024. 12. 7. 대한민국 역대 비상계엄령 ..대한민국 계엄령 역사 발효해제배경 사건비상계엄1948.10.211949.2.5여순사건비상계엄1948.11.171948.12.31제주 4.3사건비상계엄1950.7.81950.12.66.25 전쟁경비계엄1950.11.101950.12.66.25 전쟁비상계엄1950.12.71951.4.76.25 전쟁경비계엄1951.3.231952.4.76.25 전쟁비상계엄1951.12.11952.4.76.25 전쟁비상계엄1952.5.251952.7.28부산 정치 파동경비계엄1960.4.191960.4.194.19 혁명비상계엄1960.4.191960.6.74.19 혁명비상계엄1961.5.161962.5.275.16 군사 정변경비계엄1961.5.271962.12.55.16 군사 정변비상계엄1964.6.31964.7.296... 2024. 12. 5. 비상계엄 - 헌법 제77조, 계엄사령부 포고령 ..1. 윤석열 정부 비상계엄 시간별 진행 상황 요약2024년 12월 3일(화) 22시 23분 윤석열 대통령 긴급 대국민 담화문 낭독 시작22시 27분 비상계엄령 선포23시 04분 국회 출입문 폐쇄23시 25분 계엄사령관 육군 참모총장 박안수 대장 임명. 용산 국방부 내에 계엄사령부 설치23시 30분 계엄사령부 포고령 제1호 발표23시 40분 국회 상공 헬기 포착. 군 병력 동원 시작. 23시 45분 김용현 국방부장관 전군 비상경계 및 대비태세 강화 지시헬기 착륙 시도, 무장 병력 등장, 경찰 갑호비상, 용산 대통령실 바리케이드2024년 12월 4일(수)00시 07분 계엄군 국회 경내 진입, 본청 진입 시도00시 22분 계엄군 국회 본청 출입문 봉쇄00시 29분 국회 본회의 개의. 국회의원 146명 참석.. 2024. 12. 4. 재미있는 우리말 - 뜬금없다, 십상이다 ..글을 쓰다 '~하기 쉽상이다'라고 썼는데 맞춤법이 틀리다고 하네요. 그래서 찾아보게 된 '십상이다'라는 말, 한자 사자성어에서 온 말이라고 하네요. 함께 '뜬금없다'라는 말도 살펴봅니다. 1. 십상이다이 말은 한자 사자성어 '십상팔구(十常八九)'의 준말인 '십상'에서 온 말이라고 합니다. '십상팔구(十常八九)'는 '열에 여덟, 아홉으로 거의 예외가 없음'을 뜻하는 말인데 요즘은 대신에 십중팔구라는 말이 많이 쓰이죠. 즉, '~하기 십상이다'라는 말은 한자 사자성어 '십상팔구(十常八九)'에서 유래된, '~하기 쉽다'라는 뜻의 말입니다. '쉽다'라는 뜻과 연결되어 자꾸 '쉽상'으로 쓰게 되는데... 신경써야겠습니다. 2. 뜬금없다 옛날, 시장에 나온 쌀의 값을 정하는 말감고(시장에서 쌀값을 정하는 사.. 2024. 12. 1. 서울 집회 정보 검색 및 혼잡도 확인 방법 ..토요일이나 일요일의 광화문 교통은 예상할 수가 없습니다.이른 아침부터 접의자들이 무수히 깔리는 날이면 오후에는 이곳을 피해서 다녀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대규모 집회가 있는 날이면 버스도 노선을 바꾸어 다른 곳으로 가기 십상이라 정류장에서 기다려봐야 언제 버스가 올지 막막합니다. 그래도 전철역이 있어서 다행이긴 합니다. 평소 집회가 열렸던 곳이라면 특히 주말에는 미리 집회 정보를 확인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새해 행사 등으로 도시 전체라 붐빌 때는 좀 늦게 출발한다면 해당 지역의 혼잡도도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1. 서울 집회 정보 검색서울경찰청 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서울경찰청 > 알림 마당 > 오늘의 집회/시위서울 집회 정보 바로가기 : https://www.smpa.go.kr/.. 2024. 11. 16. 2025년은 을사년, 뱀의 해, 공휴일 ..올해 10월 1일은 임시공휴일이었습니다. 이미 정해진 날 이외에도 추가로 임시공휴일을 정해서 쉴 수 있다는 것을 새삼 깨닫게 되었고, 2025년 임시공휴일 지정에 대한 욕구가 생겼습니다. 장단점이 있겠지요. 2025년 공휴일과 달력을 살펴보고, 2025년이 무슨 해인지 정리합니다. 1. 2025년은 푸른 뱀의 해2024년은 갑진년, 청룡의 해입니다. 행사장에 가보면 유난히 용 모양 조형물이 많았던 해이기도 합니다. 2025년은 을사년, 푸른 뱀의 해인데... 행사장에 뱀을 장식해 놓을지 무척 궁금합니다. 푸른 뱀의 해 기념 메달이 이미 나왔는데, 화면으로 보기에는 예쁘네요. 뱀은 피부를 벗고 새로운 피부를 얻는 과정을 거치는 동물로서 변화와 치유를 상징합니다. 또한 개인의 성장, 용기, 지혜, 욕망을.. 2024. 11. 15. 이전 1 2 3 4 ··· 2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