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
올해는 첫눈 내린 날에 지역에 따라 대설경보 또는 대설주의보가 발령되었습니다. 온 듯 마는 듯해서 첫눈이다 아니다 시비를 자주 일으키곤 했던 첫눈이었는데 대설경보와 함께 오다니, 참 드문 일이었습니다.
대설주의보와 대설경보의 기준, 적설량과 강설량의 의미를 정리합니다.
대설주의보 | 24시간 동안 내려 쌓이는 눈의 양이 5cm 이상 예상될 때 |
대설 경보 | 24시간 동안 내려 쌓이는 눈의 양이 20cm 이상 예상될 때 다만 산지는 30cm 이상 예상될 때 |
적설량 | 관측소 주변 땅의 50% 이상이 눈으로 덮인 경우에 지표면으로부터 눈이 쌓인 높이 |
강설량 | 눈을 녹이거나 무게를 측정해 물의 양으로 환산해 표시한 것 30cm 적설량은 약 2.5cm 강설량에 해당해 적설량을 강설량으로 환산하면 약 1/10이 됨 |
강수량 | 강우량(비)과 강설량(눈)을 합쳐 말할 때 '강수량'을 사용 연 강수량이 1500mm라고 할 때, 여름철의 강우량과 겨울철의 강설량을 관측해 합친 것을 말함 |
'궁금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귀신 씻나락 까먹는 소리 - 뜻, 유래 (0) | 2025.01.03 |
---|---|
우리 속담 - 여자 팔자 뒤웅박 팔자 (0) | 2024.12.07 |
대한민국 역대 비상계엄령 (0) | 2024.12.05 |
비상계엄 - 헌법 제77조, 계엄사령부 포고령 (0) | 2024.12.04 |
재미있는 우리말 - 뜬금없다, 십상이다 (0) | 2024.12.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