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와 함께/블로그랑 유튜브랑

글자수 세기와 맞춤법 검사 사이트 비교 - 티스토리, 네이버, 사람인

by 금진놀 2024. 3. 18.
반응형

 

 

블로그에 글을 올릴 때 글자 수를 신경 쓸 필요는 없지만 구글의 애드센스를 통과하려면 흔히 권장되는 글자 수가 있다고 합니다. 그래서 가끔 내가 쓴 글의 글자수가 얼마인지 궁금해지기도 합니다. 블로그에서 뿐 아니라 다른 글을 작성할 때도 맞춤법 검사는 대부분 진행하게 됩니다. 

오늘은 티스토리, 네이버, 사람인,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의 글자 수와 맞춤법 검사를 비교하여 보았습니다. 티스토리는 글자 수 세기 기능은 없어서 맞춤법만 보았습니다.

썸네일

글자 수 세기 비교

1. 네이버 글자수

네이버에서 '글자수'를 검색하면 글자 수 세기 화면을 볼 수 있습니다. 맞춤법 검사기는 따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텍스트를 복사해서 붙여 넣으면 하단에 공백 포함, 공백 제외 글자 수와 byte 수가 나타납니다.

네이버 글자수 세기 화면
(네이버 글자수)

2. 사람인 글자수

'사람인 글자수'를 검색하여 들어갈 수 있습니다.

취업 정보 사이트인 '사람인'은 서류제출에 필요한 자기소개서 작성에 도움이 되도록 글자수세기/맞춤법 검사기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네이버와 마찬가지로 텍스트를 복사해서 붙여 넣으면 하단에 공백포함, 공백제외 글자 수와 byte 수가 나타납니다.

 맞춤법 검사기와 함께 나오고 초기화 단추도 있어서 편리합니다. 네이버와 결괏값은 같습니다. 

사람인 글자수 세기 화면
(사람인 글자수, 맞춤법)

맞춤법 검사 비교

 

1. 티스토리 맞춤법

티스토리는 글쓰기 화면은 기본적으로 맞춤법 검사 기능을 제공합니다. 블로그 글을 작성하면서 수시로 하단의 맞춤법을 선택하여 수정할 수 있어서 편합니다. 검사가 한 번에 끝나지는 않아서 1차, 2차, 3차로 진행해도 계속 수정 사항이 나올 수 있습니다. 맞춤법 오류를 찾지 못할 때까지 맞춤법 검사를 여러 번 진행해야 합니다. 

 

2. 네이버 맞춤법 검사기

네이버 글자 수 세기 이후에 하단의 관련 맞춤법 검사기 링크로 이동하면 편합니다.

300자로 제한이 있어서 나누어서 검사를 진행해야 하는 단점이 있습니다.

네이버 맞춤법 검사기 화면
(네이버 맞춤법)

3. 사람인 맞춤법 검사기

사람인 사이트는 글자수 옆에 맞춤법 검사기가 나란히 있어서 편합니다. 또한 수정할 수 있는 대치어를 여러 개 제시해 주어 선택할 수 있습니다. 

 

4.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  (링크 http://speller.cs.pusan.ac.kr/)

부산대학교 인공지능연구실과 (주)나라인포테크가 함께 만들었다는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는 왜 틀렸는지 일일이 도움말을 보여줍니다. 빨갛고 파랗게 교정되어 있는 원고를 볼 수 있습니다. 상단에 글자 수도 표시됩니다.

한국어 맞춤법 문법 검사기 화면

 

맞춤법 검사기를 각각 실행하여 차이를 보겠습니다. 

먼저 티스토리에서 맞춤법을 3번 진행하여 '맞춤법 오류를 찾을 수 없습니다'라는 메시지가 나온 후에, 네이버, 사람인, 한국어 검사기로 각각 검사하였습니다. 아래 표에서 몇 가지 차이를 볼 수 있습니다. 

원본 네이버 사람인 한국어
글자수 글자 수 글자 수 글자 수
(주)나라인포테크 (주) 나라인포테크 - -
교정되어 있는 - 교정된 교정된 : '돼 있다'는 '됐다'로 쓰면 어색하여 이는 고치지 않습니다. 하지만, '돼 있는'는 -됀'으로 씀이 자연스러워 이는 '-된'으로 고칩니다.
실행하여 수정을 한 - 실행하여 수정한 실행하여 수정한 : 굳이  조사 '을/를/이/가'를 쓰지 않아도 된다면 쓰지 않습니다.

글자수 세기는 어느 사이트를 이용해도 거의 같은 결과를 보여줍니다. 

네이버 맞춤법은 글자수 제한도 있고, 수정 결과도 아직 어색하네요.  '사람인'이나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에서 검사하는 단계를 거치면 어색하지 않도록 글을 다듬는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