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를 운영하기 위하여 처음 티스토리에 가입하고 시작하는 방법과 관리 모드로 변경하고 관리 모드에서 설정 내용 수정하는 방법을 정리했습니다.
초기 설정 값은 대체로 권장되는 사항을 따랐으나 개인이 판단하여 자신에게 맞도록 조정하는 편이 좋습니다.

티스토리 가입

1) 네이버나 구글에서 티스토리를 검색합니다.
2) 오른쪽 상단의 '시작하기'를 클릭합니다.
3) 카카오계정 로그인을 하여 회원가입을 합니다.
- 티스토리는 카카오 계정으로 가입하여 시작할 수 있는데 카카오 계정은 이메일 주소를 이용하여 만들 수 있습니다.
- 기존 카카오 계정과 다른 계정으로 티스토리를 하고 싶다면 미리 다른 이메일 주소로 카카오 계정을 추가하여 진행하세요.

4) 티스토리 서비스 이용 약관에 체크하고 '다음'을 진행합니다.
5) 닉네임과 블로그 이름, 블로그 주소를 기입합니다.
- 닉네임과 블로그 이름은 나중에 변경할 수 있지만 블로그 주소는 변경 안됩니다.
- 블로그 주소는 영문, 숫자, 하이픈만 입력 가능하며, 블로그 주소.tistory.com 의 형태가 됩니다.
6) 스킨 설정은 나중에 바꿀 수 있습니다. 북클럽 형태가 속도가 빠르다는 말이 있고 사용하기도 쉬워 북클럽 스킨을 많이 사용합니다.
- 애드센스를 신청할 계획이라면 승인받을 때까지는 도중에 스킨을 변경하지 마세요. 도중에 바꾸면 승인이 늦어진다고 합니다.
7) 적용을 시키면 인증 메일이 발송되는데 메일을 확인하여 인증을 마치면 티스토리 가입이 완료됩니다.
티스토리는 1계정당 블로그 5개를 동시에 운영할 수 있습니다. 블로그 최대 개설 횟수에는 10회로 제한이 있습니다.
티스토리 관리모드 접속 방법
티스토리는 블로그에 대한 여러 가지 설정을 할 수 있는 관리모드와 글쓰기 모드가 있습니다.
1) 모드의 변경은 블로그에 접속한 상태에서 오른쪽 상단에 있는 검색돋보기 옆의 아이콘(연한 T)을 클릭하여 선택할 수 있다. 이 아이콘은 블로그의 얼굴입니다.
2) 관리모드 접속하는 또 다른 방법은 티스토리 주소 뒤에 /manage를 입력하거나 (블로그주소.tistory.com/manage)

4) 오른쪽 끝의 진한 색 T 아이콘(티스토리 아이콘)을 클릭하면 티스토리 계정관리, 여러 개 블로그 간 이동, 내가 구독하고 있는 블로그(피드)의 표시를 볼 수 있습니다. 블로그 이름 옆에 뜨는 톱니바퀴 모양을 클릭하여 관리 모드로 들어갈 수도 있습니다.
저 두 아이콘을 클릭하면서 찾으면 관리, 글쓰기, 내 블로그 홈 등 쉽게 이동할 수 있습니다.
티스토리 초기 설정
설정은 관리모드에서 진행합니다.
1. 콘텐츠 설정
콘텐츠 구역 하단의 '설정'으로 들어가서 진행합니다. 이후도 각 구역 하단의 '설정'으로 들어갑니다.
1) 글쓰기 시 기본으로 저장할 글 상태는 비공개로 합니다. 공개된 상태에서 수정을 되풀이하면 구글인공지능이 신뢰성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비공개로 발행하여 충분히 수정한 후에 공개, 예약으로 바꿔 정식 발행합니다.
2) 단락 앞뒤에 공백을 사용하지 않습니다. 사용하면 엔터 누를 때마다 한 줄씩 공백을 만들어 가독성이 떨어집니다.
3) 저작물 사용 허가(CCL)를 표시합니다. 상업적 이용을 비허용합니다. 콘텐츠 변경을 비허용합니다.
- 저작물 사용허가를 아예 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2. 댓글 방명록 설정
1) 댓글 작성은 로그인 한 사용자만 가능합니다.
2) 댓글은 승인 후 표시합니다.
3) 방명록 작성을 비허용합니다.
네이버 블로그는 소통이 중요하지만 티스토리는 단방향 정보 제공이 주를 이룹니다. 불필요한 댓글이나 스팸은 초기에 차단합니다.

3. 꾸미기
1) 스킨 편집에서 '편집'을 선택하여 홈 화면 글 수는 10개로 수정하고, 목록구성요소는 목록+내용으로, 글 목록 글 수는 10개로 수정합니다.
2) 사이드바에서 카테고리 정도만 남겨두고 전부 빼기(-)를 눌러 삭제합니다.
- 방문자에게 블로그에 관한 너무 많은 정보를 줄 필요는 없습니다. 추후 필요한 것만 추가하세요.
3) 티스토리 모바일웹 자동 연결을 사용하지 않습니다.
4) 메뉴바/구독설정에서 블로그 메뉴바를 표시합니다. 메뉴바는 오른쪽 상단에 표시합니다.
구독 버튼을 표시합니다. 구족 버튼은 오른쪽 상단에 위치합니다.

4. 플러그인
배너 출력, 영어 댓글/방명록 스팸방지, 위치 로그 표시, 마우스 오른쪽 클릭 방지, 이전 발행 글 링크 삽입, 카테고리 글 더 보기 정도를 활성화시켜 주세요.
도움이 되는 프로그램들이지만 많이 설정하면 속도가 느려집니다. 블로그를 운영하면서 꼭 필요한 것만 활성화하고 필요 없는 것은 해제해 주세요.

5. 블로그
1) 관리 메뉴 가장 하단에 '블로그'를 선택하여 비어있는 블로그 설명을 입력합니다.
2) 주소설정에서 포스트 주소를 문자로 설정합니다. 문자로 설정하면 구글이 더 쉽게 찾는다고 합니다.
3) RSS는 '전체 공개'로 설정하고 공개될 RSS를 '50'개로 수정합니다.
RSS가 무언가 싶어서 찾아보았는데,... 중얼중얼... 그렇다고 합니다.
RSS(Rich Site Summary)는 뉴스나 블로그 사이트에서 주로 사용하는 콘텐츠 표현 방식이다. 웹 사이트 관리자는 RSS 형식으로 웹 사이트 내용을 보여 준다. 이 정보를 받는 사람은 다른 형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RSS 리더에는 웹기반형과 설치형이 있다. 웹기반형 리더는 간단한 계정등록으로 어디에서든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RSS가 등장하기 전에는 원하는 정보를 얻기 위해 해당 사이트를 직접 방문하여야 했으나, RSS 관련 프로그램(혹은 서비스)을 이용하여 자동 수집이 가능해졌기 때문에 사용자는 각각의 사이트 방문 없이 최신 정보들만 골라 한 자리에서 볼 수 있다. (위키백과)
4) 표시할 시간은 Asia/Seoul을 기준으로 설정합니다.
티스토리 가입과 관리모드로 변경하여 블로그 초기 설정을 하는 것까지 살펴보았습니다.
'IT와 함께 > 블로그랑 유튜브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은행 송금도착 SMS 통지 서비스 신청하는 방법 (0) | 2024.03.29 |
---|---|
글자수 세기와 맞춤법 검사 사이트 비교 - 티스토리, 네이버, 사람인 (0) | 2024.03.18 |
구글 애드센스 외환송금 수수료 절약 - 우리 크리에이터 우대 통장 (0) | 2024.03.01 |
블로그에서 구글 애드센스 민감한 광고 차단하는 법 (0) | 2024.02.12 |
컬러(색상) 조합 사이트 - 컬러 헌트 사용법 (0) | 2024.01.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