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골든에이지를 위하여

차멀미 뱃멀미 원인과 멀미 예방법

by 금진놀 2023. 11. 3.
반응형

중학교 다닐 때까지 차멀미가 심했습니다. 기차를 타도, 엘리베이터를 타도, 놀이기구를 타도 메스껍고 속이 답답하고...

고등학교를 버스로 통학하게 되면서 멀미는 없어졌지만 지금도 길이 막히거나, 덜컹거리는 길이거나 컨디션이 안 좋으면 머리가 아프고 멀미 증세가 나타납니다. 상비약 중 하나가 멀미약일 지경입니다. 

멀미의 원인과 멀미 예방법을 찾아보았습니다. 

썸네일

1. 멀미의 원인 

멀미는 균형 유지를 위해 필요한 몸의 감각 기관들이 서로 다른 정보를 전달해 뇌에 혼란이 오면서 중심을 잘 유지할 수 없게 되는 증상입니다.

즉, 눈으로 보는 움직임과, 몸의 움직임을 전달하는 귀의 신호가 서로 다를 때 발생합니다. 그래서 잠을 자거나 먼 곳을 보는 등 시각 정보를 차단하면 멀미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2. 멀미의 증상 

메스꺼움, 구토가 주요 증상입니다. 

어지러움, 두통, 피로, 졸음, 과호흡, 식은땀 등의 증상이 있습니다. 

보통 차에서 내려 신선한 공기를 쐬면 얼마 후 멈추지만, 다음 날까지도 증상이 계속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머리 아픈 남자의 모습

3. 멀미 예방하는 법

 

흔들림이 적고 창문을 통해 움직임을 확인할 수 있는 자리가 좋습니다. 차량은 앞 좌석이 좋고 비행기는 앞날개 부근, 선박은 배의 무게중심이 있는 중앙 위치가 좋습니다. 

옆이나 뒤를 향하는 좌석은 피하여 앞을 향하고(순방향) 등을 기댄 자세로, 머리와 몸이 움직이지 않도록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몸을 압박하는 단추나 허리띠를 풀어 두고 심호흡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신선한 공기를 접할 수 있는 창문 쪽에 앉는 것이 좋습니다. 가능하면 창문을 열어 신선한 공기를 마시도록 합니다. 

시선은 창밖에 두고 수평선 등 멀리 있는 경치를 보도록 합니다. 눈으로 차량이 움직이는 방향을 파악하면 귀의 반응을 빠르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눈을 감아 시각 자극을 아예 차단하는 것 역시 도움이 됩니다. 잠자는 것도 좋습니다.

기차 사진

차 안에서 핸드폰을 보거나 책을 읽는 행동은 피해야 합니다.

배부르거나 배가 고프지 않도록 출발 두 시간 전 식사를 끝내 속을 편하게 하는 것이 좋습니다.

 

멀미약은 차를 타기 30분 내지 한 시간 전에 미리 먹어야 합니다. (주의 : 멀미약은 졸음을 유발합니다)

멀미 예방 패치는 한쪽 귀 뒤에만 붙여야 합니다. 양쪽에 붙이면 용량 과다로 부작용이 생길 수 있습니다.

 

약을 먹었는데도 멀미가 심하면 껌을 씹는 것이 좋습니다. 

껌을 씹는 근육 운동은 머리의 혈액 순환을 활발하게 만들어 두려움이나 피로감 같은 정신적인 요소를 완화시켜 줍니다.

또 껌의 향기는 후각기관의 민감도를 낮춰 구토 증세를 완화시킵니다. 

생강이 멀미약보다 효과가 좋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고 합니다. 생강차나 생강과자를 이용해 보세요.

생강차 사진


장시간 가는 차량에서는 멀미약 먹고 기대고 앉아 잠을 청하는 것으로 멀미를 벗어납니다. 

3D 영화, 가상현실 체험, 패러글라이딩 등에서도 멀미를 느끼고 마는 체질 - 아쉽습니다. 멀미약 사러 가야지요.

생강과자?도 찾아봐야겠네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