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 전후에는 스트레칭을 하라는 이야기를 많이 들었습니다. 요즘 체크를 해가면서 근력운동을 조금씩 하는데, 운동 전에야 몸 풀어준다고 스트레칭하지만, 운동 후에는 왜 스트레칭을 해야 하는 건지 궁금해졌습니다. 찾다 보니, 스트레칭도 정적인 스트레칭과 동적인 스트레칭이 있었네요.
1. 스트레칭의 종류
1) 정적인 스트레칭 : 정지된 상태에서 천천히 근육을 늘리는 스트레칭입니다. 같은 자세를 유지하는 스트레칭입니다. 근육을 '이완시키는 기능'을 합니다. 유연성을 강화합니다.
2) 동적인 스트레칭 : 신체의 관절을 움직여 근육을 풀어주는 스트레칭으로 신체의 각 부위를 움직여 스트레칭합니다. 근육을 '깨우는 기능'을 합니다.
스트레칭 동작의 차이 | |
정적 스트레칭 | 상체를 굽혀 발가락에 손을 대고 20초 이상 유지 |
동적 스트레칭 | 반동을 이용해 상체를 굽혀 발가락에 손을 터치 |
2. 운동 전 스트레칭을 해야 하는 이유
운동 전에는 워밍업과 '동적인 스트레칭'을 겸하는 것이 좋습니다. 운동 전 몸을 예열시켜 부상을 예방하고 운동을 효육적으로 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
1) 근육과 연부 조직을 풀어주어 관절의 가동 범위를 증가시킵니다.
2) 증가된 가동범위로 인해 운동 중 부상을 예방하고 운동 효율을 향상시킵니다.
3) 심박수를 높여 피가 근육으로 원활하게 공급되도록 합니다.
4) 유연성과 코어 근력을 향상시키고 근육 신경 반응도 좋아집니다.
3. 운동 후 스트레칭을 해야 하는 이유
운동 후에는 '정적인 스트레칭'으로 정리운동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운동하며 사용한 근육의 피로도를 낮추고 긴장되었던 몸을 이완시킵니다. 일상생활 중의 스트레칭도 정적인 스트레칭이 좋습니다.
1) 운동에 의해 높아진 심박수와 혈압을 회복시켜 어지럼증과 저혈압에 대한 위험성을 줄입니다.
2) 근육이 안정을 찾는데 도움을 주어 근육 경련이나 지연성 근육통을 감소시킵니다.
3) 근육 기능이 향상되고 근육이 자리 잡는 것을 도와줍니다.
4)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여 따뜻한 체온을 유지하도록 도와줍니다.
4. 효과적인 스트레칭을 위해 주의할 점
1) 스트레칭도 운동입니다. 처음부터 무리한 동작을 하지 않습니다.
2) 과한 반동을 주는 스트레칭은 상해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피합니다.
3) 스트레칭하는 동안 일정한 호흡을 유지합니다. 호흡을 참으면 몸의 긴장도가 높아져 좋지 않습니다.
4) 손상된 근육 부위의 스트레칭은 피합니다.
5) 1분 이상의 스트레칭은 큰 차이가 없으므로 굳이 1분 이상 하지 않습니다.
운동 전에 몸 몇 번 늘려주고 스트레칭 다 했다 했는데, 그러한 정적인 스트레칭은 운동 후에 하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운동 전과 후를 구분해야 하네요.
'골든에이지를 위하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은평병원에서 대상포진 예방접종 후기 (0) | 2024.02.21 |
---|---|
2024년 대상포진 백신 종류와 서울 예방접종 저렴한 곳 (0) | 2024.02.19 |
실손보험 4세대 보장내역, 특징, 보험료 할증 계산 (0) | 2024.02.10 |
알레르기 비염 심한 콧물 코막힘 - 자가 코찜질로 완화 (1) | 2024.02.02 |
65세 이상 임플란트 지원 가격 혜택 (0) | 2024.01.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