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외출 준비를 하는데 선글라스가 안보입니다. 팔당대교 다녀온 날 선글라스 착용했던 기억이 마지막이고 그 후 언제 사라졌는지 알 수가 없습니다. 수동으로 색 조절을 할 수 있는 선글라스였는데, 아쉽습니다. 선글라스는 언제든 잃어버릴 수 있는 소모품으로 여겨야겠다고 생각을 해봅니다. 썼다 벗었다, 잃어버리기 딱 좋으니까요.
저렴이 선글라스를 다시 구입해야겠는데, 쇼핑몰에서 구경하다 보니 UV400이라는 표시가 간혹 보입니다. UV400이 어떤 의미인지, 선글라스 구입할 때 고려해야 할 점이 무엇인지, 선글라스를 왜 착용해야 하는지 살펴보았습니다.
1. UV차단의 필요
UV(Ultraviolet)는 한 마디로 자외선입니다. 자외선은 보라색 밖의 전자기파로 검버섯, 주근깨, 일광화상, 피부암 등의 원인이 됩니다. 나쁜 점만 있는 것은 아닙니다. 살균작용도 하고, 비타민 D 생성이라는 좋은 역할도 수행합니다.
장점 | 살균작용, 비타민D생성 |
단점 | 피부 노화, 검버섯, 주근깨, 일광화상, 피부암, 백내장을 유발할 수 있음 |
2. UV의 종류와 눈에 미치는 영향
UV-A | UV-B | |
파장 범위(nm) | 320 - 400 | 280 - 320 |
지표 도달량 | 95% 연중 고루 발생 |
10% 여름에 특히 강함 |
피부 영향 | 장기적 피부 노화 표피, 상피, 진피까지 침투 |
즉각적인 홍반, 화상 등 표피, 상피까지 침투 |
눈에 미치는 영향 | 백내장, 황반변성 등 장기적 눈 깊숙이 침투해 손상 일으킬 수 있음 | 각막, 수정체 등 눈 표면에 각막 화상 등의 손상 일으킬 수 있음. |
3. 선글라스 고르는 법 - UV400 인증마크
1) UV400이라는 용어는 선글라스가 렌즈의 특수 코팅이나 물질을 사용하여 400nm 이하의 파장을 가진 자외선을 99% 이상 차단할 수 있다는 뜻입니다. 400nm 이하라면 UV-A와 UV-B 모두 해당이 되지요.
렌즈 포장에 UV400이라고 표시된 것을 구입해야 합니다.
2) 렌즈의 색상과 자외선 차단과는 상관이 없습니다. 진하든 연하든 UV400 인증마크나 자외선차단율을 확인해야 합니다.
3) 색상이나 재질, 디자인은 개인 취향이나 활동유형을 고려하면 됩니다. 다만 크기가 큰 편이 더 많은 면적을 보호해 준다는 것을 염두에 두세요.
4) 색상별 권장되는 착용 용도는 아래와 같습니다.
색상 | 특징 | 착용 용도 |
녹색 계열 | 편안한 시야, 안정 | 도심, 해변, 낚시, 골프 |
갈색 계열 | 시야 선명 | 야외활동, 등산, 운전 |
회색 계열 | 눈에 부담 적음 | 장시간 야외활동 |
노랑, 주황색 계열 | 청색광 차단, 감도 좋음 | 야간, 환자 치료 |
파랑색 계열 | 컬러 화면 모니터 | |
검정, 회색계열 | 모든 색상 골고루 저하 | 보편적으로 사용 |
미러 렌즈 | 거울처럼 비침 | 스키장, 백사장 |
4. 기존 선글라스의 확인
선글라스는 시간이 지날수록 렌즈의 UV코팅이 손상됩니다. 2년에서 5년 정도를 렌즈 수명으로 보는데 자외선 투과율 20%가 안 되면 렌즈를 교체해야 합니다. 자외선 투과율은 안경점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멋있어 보이라고, 혹은 눈부심을 막기 위해 선글라스를 착용하는 것이 아니었어요. 눈부시다는 것 자체가 이미 눈에 손상을 주고 있다는 뜻일 수도 있지만 자외선으로부터 눈을 보호하기 위해 선글라스를 꼭 착용해야 하는 거였네요. 신체의 모든 부분이 중요하지만 눈은 정말 소중하지요. 지킬 수 있을 때 지켜야 합니다. 점점 햇살이 뜨거워지는 계절, 선글라스 - 잘 보고 사고, 잘 확인하고, 잘 착용합시다.
UV400으로 검색해 보세요.
*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골든에이지를 위하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상포진 예방접종 2차까지 완료 후기 (0) | 2024.05.02 |
---|---|
주택연금 얼마나 받나, 가입 조건, 수령액, 가입 방식, 수령 방식 (0) | 2024.05.01 |
많이 먹으면 간에 치명적인 타이레놀 하루 몇 개까지? (0) | 2024.04.26 |
피부 노화 방지를 위한 올바른 자외선 차단제 사용법 (0) | 2024.04.24 |
스마트폰에서 내 명의 보유 카드 확인하는 법 (0) | 2024.04.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