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궁금한 정보

에어컨에서 냄새가 나면

by 금진놀 2024. 8. 7.
반응형

.

.

에어컨이 송풍으로 작동할 때 냄새가 나기 시작했습니다. 문득 필터 청소를 하지 않은지 꽤 되었다는 것이 떠올랐습니다. 에어컨 내부는 곰팡이가 자라기 좋은 환경이어서 이를 방치하면 면역력이 약한 사람은 건강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습니다.  일단 필터부터 꺼내어 세척하고 말리면서, 에어컨 냄새에 대하여 찾아봅니다. 

썸네일

1. 에어컨 냄새의 원인

에어컨에서 냄새가 나면, 오래되었거나 관리를 잘 못해서 그럴 거라고 생각하기 쉽습니다. 그런데 구입한 지 1~2년 밖에 안되었어도, 열심히 관리를 하고 분해청소까지 했는데도 냄새가 나는 경우가 있다고 합니다. 그래서 에어컨 업계에서는 에어컨 재료가 원인일 수 있다고 의견을 내놓았습니다. 

에어컨 일러스트

예전(2010년 이전)의 에어컨은 냉매관의 재료가 구리였습니다. 구리는 탈취효과가 있어서 악취를 줄여주는 효과가 있습니다. 강도가 높아 내구성이 강합니다. 

2010년 이후 신형 에어컨에서는 비싼 구리 대신에 단가가 더 저렴하고 에너지 효율이 높은 알루미늄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당연히 전에 비하여 항균, 탈취효과가 떨어져 미생물 번식 확률이 높아지고, 수분 생성을 잘 되지만 증발이 잘 안 되는 단점이 있어 냄새의 원인이 된다고 합니다.

 

2. 에어컨 냄새를 줄이기 위한 조치

1) 환기가 잘 되는 상태에서 에어컨을 가동합니다.

2) 혹시 드레인 호스(에어컨 물 빼주는 호스)가 악취 나는 곳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지 확인합니다.

3) 에어컨은 냄새를 잘 흡착합니다. 기름기 많은 요리를 할 때(생선, 삼겹살 구이 등) 발생한 오일 미스트(유증기)가 열 교환기나 필터에 흡착되어 성능 저하, 불쾌한 냄새 발생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에어컨을 끄거나 환기가 잘 되도록 합니다.

4) 옆에 향수, 화장품을 두거나 향이 있는 세정액 등을 사용하면 에어컨에서 냄새를 흡착할 수 있습니다. 

냉방 일러스트

5) 주기적인 필터청소를 하고 에어컨 가동이 끝나면 자동건조 및 송풍으로 내부 습기를 말려줍니다.

6) 에어컨에 별도로 청소 기능이 있는지 확인하여 진행합니다.(삼성 2021년형 이후 제품에는 워시클린 기능이 있어 열교환기의 먼지와 냄새를 제거하고, LG휘센에는 열교환기 세척, 필터 클린봇 기능 등이 있습니다.)

7) 맑은 날 에어컨 근처의 창문을 열고 냉방 온도 18도, 바람세기 강풍으로 설정 후 2시간 정도 가동한 다음 송풍 또는 공기청정 모드로 30분 정도 운전하면 냄새를 빠르게 제거할 수 있습니다. 

8) 내부 오염 제거를 위해 전문 업체를 통하여 분해 세척을 합니다. (벽걸이 에어컨 약 4만 원 ~ 2 in 1 에어컨 약 22만 원으로 종류별 가격이 다릅니다.)

댓글